
*정상적인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이 차단됩니다.
올 '최고과학기술인상' 황철성 교수 "AI 과전력 해결할 뉴로모픽 도전"
서울경제 | 2025-07-03 18:05

“현재와 같이 인공지능(AI) 성능을 높이기 위해 하드웨어를 계속 늘리는 방식은 지속 가능
대한민국 최고과기인상 수상자, 황철성 서울대 교수 “뉴로모픽 반도체서 승부해야”
디지털타임스 | 2025-07-03 16:01

“우리의 먹거리인 메모리 반도체 분야는 중국의 빠른 추격과 만년 3등 메모리 기업인 미국
영남대, 차세대 AI 뉴로모픽 전자소자 개발…의료·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기대
전자신문 | 2025-07-03 15:59

영남대학교(총장 최외출)는 김민재 신소재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사람의 뇌처럼 정보의 저장과
영남대 연구팀 "뇌처럼 정보저장·계산 동시 가능 소자 개발"
연합뉴스 | 2025-07-03 15:30

(경산=연합뉴스) 이강일 기자 = 영남대는 신소재공학부 김민재 교수 연구팀이 사람 뇌처럼 정보 저장과 계산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차세대 인공지능(AI) 뉴로모픽 전자 소자 개발에
[텔레그램] 가장 빠른 찌라시
찌라시!

가장 빠른 증권가 주식 찌라시 텔레그램 채널방
국내 모든 찌라시를 모아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국내 모든 찌라시를 모아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나노코리아 2025] 韓·美, 반도체 제조 해법 나노서 찾는다
전자신문 | 2025-07-03 13:35

반도체 제조와 뉴로모픽·양자센서 관련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나노기술과 융합에서 찾으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에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뉴로모픽 연구에 주력할 것”
조선비즈 | 2025-07-03 12:00

미래 메모리 소자 연구 및 반도체 인력 양성에 기여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가 2025년 대
반도체 전문가 황철성 교수 "지금의 과전력 AI, 뉴로모픽이 답"
아이뉴스24 | 2025-07-03 12:00

“현재 AI 시스템의 과도한 전력 사용을 개선할 수 있는 연구가 반도체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GPU+HBM의 성능 개선과 더불어 process-in-memory와 같은 새로
동국대 김성준 연구팀, 저항변화 멤리스터 어레이 기반 뉴로모픽 컴퓨팅 시스템 개발
더퍼블릭 | 2025-07-01 17:55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동국대학교는 전자전기공학과 변용진 석사과정생(제1저자), 김기문 석사과정생(공동 제1저자), 김성준 교수(교신저자), 고려대학교 지능형반도체공학과 김성준 교
김성준 동국대 연구팀, 뉴로모픽 컴퓨팅 시스템 개발
매일일보 | 2025-06-30 14:47

매일일보 = 김승현 기자 | 동국대학교는 전자전기공학과 변용진 석사과정생(제1저자), 김기문 석사과정생(공동 제1저자), 김성준 교수(교신저자), 고려대학교 지능형반도체공학과 김성
韓·EU, AI가속기·뉴로모픽 반도체 힘모은다···연구자 포럼 개최
서울경제 | 2025-06-16 09:44

[서울경제] 한국과 유럽연합(EU)의 반도체 전문가들이 모여 공동연구 강화방안을 모색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제2회 한·EU 반도체 연구자 포럼’
[출처] https://stockinfo7.com/news/search
안드로이드 앱
PC 프로그램(유료)
PC 프로그램(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