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큰 파워감지 대시세 예감***
CAPT : 20배 가능기대
(나스닥 상장주/ 국내 증권사앱에서 거래 가능)
주식 현황 및 향후 전망
<o:p></o:p>
1. 미국 재규어 스펙 청약 당시 청약자들이 주당 약 10불에 청약을 하였고,
스펙 해산 또는 합병을 반대하여 매수청구권을 선택 시 청약 금액을 10불로
환산하여 이자 대신 12주에 1주를 스펙 합병 주식으로 주는 계약이 되어있음.
이에 글람주식회사와 합병되어 상장되는 날 매수청구권 행사한 재규어 주주들
이 청약 원금과 원금의 이자 대신 합병 CAPT 주식 약 190만주를 받아 상장
첫날 매도하여 수급 불균형으로 일시 급락한 상태임. 상장 첫날인 11월 15일,
16일 이틀간 총 600만주가 거래되어 190만주가 소
화된 것으로 예상됨. 재규어측에서는 이자 대신 무상으로 받아 간 190만주에
대해 굳이 높은 가격으로 살 이유가 없다고 하였고, 11월 말일경 나스닥 시장
에서 CAPT 상장 세레머니 진행과 동시에 미국증권사인 코헨과 오베른에서 에
널리스트를 통해 리포트와 적극적인 IR을 시작하게 되면 금방 주가는 제자리
를 찾아가며 30불 이상 갈 것이라고 미국 스펙 최대주주인 재규어와 헤네시측
에서 얘기하고 있음. 2. 상장 된 캡티비젼의 실적이 2022년도에 매출 200억에
영업손실 300억이였지만 2023년도 올해에는 약 2배 성장한 360억에서 400억
사이가 확정적이고
영업이익도 상장 비용을 제외한 60억 이상으로 전망함. 또한, 2024년에는 기
계약 확정된 실적만 600억 이상이고 회사 내부의 매출 전망은 600억에서 800
억 추정하며, 영업이익도 200억에서 300억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함. 3. 의견 :
여러 가지 매출 상황과 캡티비젼의 성장성을 보았을 때 이미 국내
10번째로 나스닥에 상장이 되었으며 기상장된 9개 회사들은 매출과 영업이익
을 조 단위 이상 발생한 기업들인 반면 CAPT가 매출 2-300억으로 나스닥에
상장된 것은 성장성을 높이 본 결과이고 2022년부터 당해연도 매출 추이를 보
았을 때 미국 시장에서 바라보는 시각에 부합하고 있어 11월 말부터 미국에서
시작하는 대규모 IR을 기점으로 2~3개월 후 주가가 많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
됨. *참고 사항 : 2014년 글람주식회사의 영업을 책임지고 있던 코스닥 상장사인
지스마트글로벌의 2014년 주가 추이를 보면 글람주식회사가 2014년도 인수
후 지글라스 영업을 가지고 3월부터 IR을 진행하여 4개월이 지난 2014년도
하반기에 시총 6천억에서 8천억을 2016년도 말까지 3년간 유지하였음.
2014년도의 지스마트글로벌은 지글라스 영업 초기라 매출이 많지 않고 제품도
안정화되지 않았으며 세계적으로 유통망을 갖추고 있지 않은 상태였음. 또한,
미디어파사드 시장이 많이 열리지 않았고 레퍼런스도 없는 상태였음. 이런
상태인데도 2014년도 지글라스 영업을 3개월간 IR 후 2014년도 하반기
부터 2016년도 말까지 약 3년간 시총 6천억에서 8천억을 유지한 것을 보면
현재 매출도 2022년도 200억, 2023년도 400억, 2024년도 7-800억 예상되는
등 계속 성장하고 있으며, 미디어파사드 시장도 많이 열리고 있는 상태임. 또
한, 대형 레퍼런스 사이트도 국내 및 국외에 많이 생겨났고 세계적인 유통망도
갖추었으며 국내 시장보다 15배 큰 미국 시장에 상장되어 IR을 진행하면 파급
효과가 훨씬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영업환경 또한 많이 좋아지고 있음.
사우디에서 지속적으로 문의가 들어 오고
있어 2024년부터 사우디 매출들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됨. 현재 사우디 파트너
EIRAD는 2024년 매출 $10M 그리고 향후 3년동안 총 $55M 매출 게런티를
하였음. 국내에서도 미디어 파사드 문의가 증가 추세에 있고 대형 신축건물이나 리모
델링을 하는 시행사들은 건물 외관에 미디어 파사드를 하는 것을 대부분 고려
하고 있어 향후 몇 년내에 건물에 미디어 파사드를 하는 것은 기본이 되어질
것으로 예상됨. 또한 국내 대형 부동산 관리 자산운용사와 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테헤란로에 큰 오피스 빌딩을 G-Glass로 리모델링 하는 것을 적극 진행하고
있음. 부동산 자산 운용사들은 건물 가치를 높이기 위해 요즘 높은 임대료와 장기 통
임대를 할 수 있는 IT, Online Game, OTT. Webtoon, Entertainment회사
들 유치에 경쟁이 치열한데 미디어 파사드가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매김 하고
있어 그동안 G-Glass를 그냥 경관 목적으로 했다면 이제는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음. 미국에서는 현재 Kenzo Digital같은
https://kenzodigital.com/ 미디어 아티스트 대가를 통해 미국에
Jarvits building, Lincoln center, MOMA
museum등 major landmark 빌딩들 영업이 시작되었음. 미국에 landmark
reference가 생기는 시점에 미주 매출이 급격하게 늘 어날것으로 예상됨.
또한 이번에 지테이너가 미국 최고의 뮤직 페스티벌인 Coachella에 채택이 되
면서 미국 outdoor music festival 시장의 성장이 기대되고 이 분야의 미국
최고 전문가들과 시장 전략을 기획하고 있음. 지테이너에 대한 미국 현지 반응
은 매우 잠재력이 큰 제품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매년 800여개 넘는 music
<div id="hwpEditorBoardContent"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data-hjsonver="1.0" data-jsonlen="27924"></div>
festival에 혁신을 끌어 올 수 있는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음.
[출처] http://www.paxnet.co.kr/tbbs/view?id=N00820&seq=150357588230446

안드로이드 앱
PC 프로그램(유료)
PC 프로그램(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