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가 47% 상향 신규리포트!! 비만치료제 시총 1.5조~4조빅파마 '군침'"
일동제약 작성자: 슈퍼파워VI(fundjj1027)     2025-11-21 13:37
[복사]    * 종목을 클릭하면, 종목에 대한 정보를 네이버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일동제약, 저분자 비만치료제 시총 1.5조~4조…빅파마 '군침'"



상상인증권에서 21일 일동제약(249420)에 대해 '비만치료제로 기업가치 재평가 중!'라며 투자의견 'BUY(신규)'의 신규 리포트를 발행하였고, 목표가 46,000원을 내놓았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 때, 이 종목의 주가는 목표가 대비 47.9%의 추가 상승여력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일동제약 리포트 주요내용

상상인증권에서 일동제약(249420)에 대해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46,000원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한다. 동사의 목표주가는 영업가치와 비영업가치를 나누어 SOTP 방식으로 산정하였다. 영업가치는 12M forward 영업이익에 중소형 제약사 평균 multiple 15배를 적용하였다. 비영업가치에는 신약가치에 순차입금을 차감하였다. 신약가치에는 동사의 경구용 비만치료제에 대한 가치를 9,000억원으로 산정하였고 순차입금을 차감하여 영업가치와 합산, 목표주가 46,000원이 산정되었다.'라고 분석했다.


또한 상상인증권에서 '2026년 연간 실적은 매출액 6,204억원(+10.7%YoY), 영업이익 434억원(+39.6%YoY, OPM 7.0%) 시현이 전망된다. 2025년 연간 실적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하는 부진한 실적을 보인 반면, 2026년에는 개선세가 전망된다.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2025년 상반기 재고소진을 다 끝내면서 2025년 하반기부터 실적이 정상화 진행 중, 2026년부터는 매출성장이 예상된다. ETC부문은 2026년 개량신약 출시와 더불어 영업력 강화, 코프로모션 도입 등 적극적인 영업활동에 따른 외형성장에 집중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 일동제약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신규 목표가, 46,000원(최근 1년 이내 신규발행)

상상인증권은 이 종목에 대해 최근 1년 중 처음으로 목표가 46,000원을 제시했다.


일동제약, 비만치료제 기술수출 기대감 '증폭'…"내년 실적 대폭 개선에 기업가치 재평가"

2025.11.21 10:41:09

상상인증권은 21일 일동제약(249420)에 대해 비만치료제로 기업가치가 재평가 국면에 들어간 상황에서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 4만6000원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상상인증권에 따르면 일동제약의 내년 예상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10.7% 늘어난 6204억원, 39.6% 성장한 434억원이다.


올해 연간 실적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하 는 부진한 실적을 보인 반면, 내년에는 개선세가 전망된다는 설명이다.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올해 상반기 재고소진을 다 끝내면서 하반기부터 실적 정상화가 진행 중이며, 내년부터는 매출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전문의약품(ETC) 부문은 내년 개량신약 출시와 더불어 영업력 강화, 코프로모션 도입 등 적극적인 영업활동에 따른 외형성장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이달미 상상인증권연구원 은 "동사는 경구용 저분자 화합물 GLP-1 비만치료제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임상1상을 마쳤다. 지난 9월 말에 최고용량 200mg에서 ID110521156은건강한 성인 36명 대상 4주 동안 반복 투여 시 9.9%의 감량효과를 나타냈다. 플라시보 제외한 감량수치는 8.8%를 발표했다"며 "이는 여타 다른 경구 용 비만치료제 후보물질과 비 교했을 때 더 높은 감량 수치"라고 짚었다.


또한 "빌리루빈 수치는 상승했지만 용량 증량(titration)을 통해 부작용 최소화 및 간독성 지표는 상승하지 않았으며 최근 경쟁사 턴스(Terns)의 후보물질 임상 중단 선언으로 기술수출 기대감이 높아졌기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동제약 에이비엘바이오 처럼 갑자기 기술이전 뉴스나오면 폭등 1순위!!!


일동제약은 현재 다수의 글로벌 기업과 비밀유지계약(CDA)을 체결하고 기술이전(L/O) 협상을 진행 중!

일동제약은 현재 다수의 글로벌 기업과 비밀유지계약(CDA)을 체결하고 기술이전(L/O) 협상을 진행 중!

일동제약은 현재 다수의 글로벌 기업과 비밀유지계약(CDA)을 체결하고 기술이전(L/O) 협상을 진행 중!



"일동제약, 저분자 비만치료제 시총 1.5조~4조…빅파마 '군침'"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110309335564153



일동제약, ‘지나친 저평가’ 증권사 분석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419340



일동제약(249420)은 경구용 비만 치료제 ‘ID110521156’의 임상 1상을 마무리하고, 4주 투여 시 최대 13.8%의 체중감소 효과와 우수한 안전성을 확인했다. 회사는 펩타이드 주사제가 아닌 합성소분자 기반의 경구용 제형이라는 점을 앞세워 글로벌 기술이전 협상을 진행 중이다. 생산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비가 낮은 합성소분자 기반 특성상 상용화 이후에도 합리적 가격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동제약, 저분자 비만치료제 시총 1.5조~4조…빅파마 '군침'"

"일동제약, 저분자 비만치료제 시총 1.5조~4조…빅파마 '군침'"


@@ 일동제약

-주봉챠트 상승초입 확인 필수!!

-시총 고작 9천억대 // 적정시총 1.5조~4조 전망!

-내년 경구용 비만치료제의 글로벌 2상 진입과 글로벌 빅파마와의 기술이전 계약 진행중!

-일동제약은 현재 다수의 글로벌 기업과 비밀유지계약(CDA)을 체결하고 기술이전(L/O) 협상을 진행 중!

-일리아일리/노보 노디스크 주도권 경쟁 등은 기술이전 가능성과 가치를 높이고 있다"며 "기존 경구형 기술이전 대상 지역이 중화권이 제외된 점과 간수치/근육감소 부작용에 대한 1상 결과의 차별성을 근거로 25억달러 이상의 기술이전도 가능하다"

주요 파이프라인은 제2형 당뇨병·비만 치료제를 비롯해 위식도역류질환(GERD), 파킨슨병, MASH(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안구건조증 치료제


"일동제약, 경구용 비만치료제 글로벌 2상 기대"


스몰인사이트는 17일 일동제약에 대해 "중견 제약사에서 벗어나 연구개발 중심의 신약 개발 회사로 변신을 진행 중이며, 내년 경구용 비만치료제의 글로벌 2상 진입과 글로벌 빅파마와의 기술이전 계약 등이 주가 리레이팅(재평가)의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강력 매수...


스몰인사이트는 17일 일동제약에 대해 "중견 제약사에서 벗어나 연구개발 중심의 신약 개발 회사로 변신을 진행 중이며, 내년 경구용 비만치료제의 글로벌 2상 진입과 글로벌 빅파마와의 기술이전 계약 등이 주가 리레이팅(재평가)의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강력 매수', 목표주가는 5만2000원을 제시했다.


일동제약은 현재 다수의 글로벌 기업과 비밀유지계약(CDA)을 체결하고 기술이전(L/O) 협상을 진행 중이며, 내년 상반기 계약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회사 유노비아는 신약 연구·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바이오기업으로, 주요 파이프라인은 제2형 당뇨병·비만 치료제를 비롯해 위식도역류질환(GERD), 파킨슨병, MASH(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안구건조증 치료제 등이 있다.


일동제약, 경구형 비만치료제 선봉…글로벌 임상 자금도 충분해


임상 자금도 충분해 독자적인 글로벌 임상을 통한 파이프라인의 가치 확대 또는 글로벌 빅 파마로의 기술이전, 모두 동사가 키를 쥐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화이자와 턴스 파마슈티컬스 등의 경구형 비만치료제 개발 중단과 글로벌 경쟁사 아스클레티스/스트럭쳐/레고르 대비 높은 체중 감량 결과...


최 연구원은 "2026년 진입 예정인 글로벌 2상과 논의 중인 글로벌 빅 파마와의 기술이전 계약 등이 주가 리레이팅의 모멘텀이 될 것"이라며 "최근 160억원 규모의 디앤디파마텍 지분 매각을 통한 임상 자금도 충분해 독자적인 글로벌 임상을 통한 파이프라인의 가치 확대 또는 글로벌 빅 파마로의 기술이전, 모두 동사가 키를 쥐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화이자와 턴스 파마슈티컬스 등의 경구형 비만치료제 개발 중단과 글로벌 경쟁사 아스클레티스/스트럭쳐/레고르 대비 높은 체중 감량 결과, 일리아일리/노보 노디스크 주도권 경쟁 등은 기술이전 가능성과 가치를 높이고 있다"며 "기존 경구형 기술이전 대상 지역이 중화권이 제외된 점과 간수치/근육감소 부작용에 대한 1상 결과의 차별성을 근거로 25억달러 이상의 기술이전도 가능하다"고 예측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R&D 규모 TOP…일동제약 증가율 TOP


일동제약은 신약개발 자회사 아이리드비엠에스와 아이디언스에 집중됐던 개발비용을 일부 본사 연구투자비로 돌리며 가장 높은 개발비 비중 증가율을 나타냈다. 일동제약의 3분기 누적 연구개발 비용은 지난해 64억원에서 올해 267억원으로 전년 대비 무려 317% 성장했다. 또 매출액 대비 연구투자비용이...




[출처] https://www.paxnet.co.kr/tbbs/view?id=N00820&seq=150357589765292
 PC 프로그램(유료) 
 PC 프로그램(무료) 
 안드로이드 앱 
가장 빠른 뉴스 프로그램: 주식뉴스PRO

가장 빠른 뉴스 프로그램: 주식뉴스PRO

실시간 찌라시 - 찌라픽

주식테마, 테마랭킹, 주도주파악

종합뉴스! 실시간 뉴스 HTS에 없는 뉴스

종합뉴스R 실시간 뉴스 HTS에 없는 뉴스

뉴스 프로그램 개발

주식뉴스PRO 리셀로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