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빠른 뉴스 프로그램: 주식뉴스PRO
곡물가 폭락 선진 영업익 대폭등(시총 2700억 영업익 2천억이상 예상)
선진 작성자: 추적123(ckkm1)     2025-09-15 17:58
[복사]    * 종목을 클릭하면, 종목에 대한 정보를 네이버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한경Aicel 분석
판매가 인상한 식품업계 '함박웃음'

국제 곡물가격 5년 만에 최저
쌀·밀 선물가격 5년來 최저
큰손 中 수입 물량 대폭 줄고
美·유럽·호주 작황 호조 겹쳐
원달러 환율 하락세도 한몫
쌀과 밀 등 국제 곡물 가격이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4일 대체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쌀(현미) 선물 최근월물 가격은 지난 12일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100파운드(45.3㎏)당 11.50달러를 나타냈다. 전날보다 1.4% 하락하면서 2020년 8월 6일(11.48달러) 후 5년여 만에 최저 가격을 경신했다. 밀 선물 가격도 지난달 14일 부셸(27.2㎏)당 5.03달러까지 추락해 2020년 8월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근 거래가격은 5.23달러로 올해 들어 5.1% 떨어졌다.

종합적인 국제 곡물가를 추종하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월간 세계곡물가격지수(2014~2016년 평균 가격이 100)는 8월 105.6을 나타냈다. 2020년 9월(104.3) 후 5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이 지수는 올해 들어 5.2% 하락했다.

미국과 유럽, 호주, 인도 등의 작황 호조와 중국의 수입 축소가 가격이 하락한 핵심 배경으로 꼽힌다. 중국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곡물 수입을 크게 늘리며 2022년 상반기 곡물 가격 급등을 촉발하기도 했다.

국내 주요 식품업체는 곡물 가격과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원가율 개선 효과를 누리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국제 곡물 가격 하락으로 식용과 사료용 곡물 수입 단가가 3분기에도 내려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div class="nbd_im_w _LAZY_LOADING_WRAP is_long" style="clear: both;">
</div>

“신공장 가동과 채용 인력 확대에도 안정적인 원가율을 유지했습니다.”(삼양식품 2분기 기업설명자료)

국내 식품업체의 체력이 강해지고 있다. 원가 부담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인 국제 곡물 가격이 거듭 하락한 덕이다. 시장조사업체들은 안정적인 작황과 중국의 수입 축소로 하반기에도 곡물 가격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14일 국내 최대 식품업체인 CJ제일제당에 따르면 원맥(밀) 수입 단가(운송비 등 부대비용 포함)는 지난 6월 말 t당 43만2000원으로 2021년 말(34만9000원) 후 최저를 기록했다. 2022년 말 t당 55만4000원까지 오른 원맥 수입 단가는 최근 2년 반에 걸쳐 22.0% 하락했다. 설탕 제조에 쓰이는 원당 가격은 6월 말 t당 72만3000원으로 작년 말 79만7000원에서 6개월 만에 9.2% 내려갔다. 2022년 말(63만원) 후 가장 낮은 가격이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서 거래하는 곡물 선물 가격은 대부분 5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쌀(현미) 최근월물 가격은 지난 12일 100파운드(45.3㎏)당 11.50달러로 2020년 8월 6일(11.48달러) 후 5년여 만에 최저를 나타냈다. 올해 들어 하락률은 18.7%에 달한다. 밀 선물은 부셸(27.2㎏)당 5.23달러로 올 들어 5.1% 하락했다. 옥수수 선물은 부셸당 4.30달러로 올해 6.0% 내려갔다.

중국의 곡물 수입 축소가 가격 하락의 핵심 원인으로 꼽힌다. 중국은 2020~2022년 코로나19 사태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식량안보 위기를 겪은 뒤 재배 면적을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다. 인도의 곡물 생산량 확대도 곡물가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인도는 3월 내부 공급 과잉을 해소하기 위해 쌀 수출 금지를 전면 해제했다.곡물 가격 하락은 가공식품 판매가격을 인상해 온 국내 식품업체의 체력 강화로 이어지고 있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라면 수출 선두 주자인 삼양식품이 국내 제분업체로부터 매입하는 밀가루 가격은 6월 말 ㎏당 729원이었다. 2023년 말 887원과 비교해 17.8% 저렴해졌다. 그 덕에 회사의 개별 재무제표 원가율(매출액 대비 매출원가 비율)은 2022년 74%에서 올 상반기 59%로 15%포인트 떨어졌다. 매출 증대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와 원재료비 하락이 급격한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

선진과 이지바이오 등 배합사료 사업자는 더 직접적인 혜택을 받고 있다. 허준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선진의 영업이익이 작년보다 30%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배합사료의 원재료인 곡물 가격이 내리고 환율도 하락해 본업의 마진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2일 1388원으로 올해 들어 6.1% 하락했다. 식품업체의 제품 가격을 반영하는 가공식품 물가지수(2020년=100)는 최근 5년간 24.8% 상승했다.시장 전문가들은 중국의 줄어든 수입 규모가 국제 곡물 시장의 ‘새로운 기준(뉴노멀)’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분석한다.

지난달 미국 농무부(USDA)는 중국의 2025~2026마케팅연도(2025년 7월~2026년 6월) 밀 수입 규모를 600만t으로 예상했다. 2023~2024년도 1363만t과 비교해 56% 급감할 것으로 추정했다. 국가별 밀 수입량 순위에서도 중국은 2023~2024년도 압도적인 1위에서 이번 연도 10위권 밖으로 밀려날 전망이다. 옥수수 수입 역시 같은 기간 1871만t에서 1000만t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량 순위로는 세계 2위에서 한국(4위·1150만t)보다 낮은 5위로 떨어질 것으로 USDA는 관측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콩(대두) 수입을 늘리라고 공개적으로 압박했지만 중국의 수입 증대 움직임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며 “양호한 글로벌 작황과 줄어든 중국 수요로 국제 곡물 가격이 3분기에도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출처] https://www.paxnet.co.kr/tbbs/view?id=N00820&seq=150357589574547
 안드로이드 앱 
 PC 프로그램(유료) 
 PC 프로그램(무료) 
가장 빠른 뉴스 프로그램: 주식뉴스PRO

가장 빠른 뉴스 프로그램: 주식뉴스PRO

실시간 찌라시 - 찌라픽

주식테마, 테마랭킹, 주도주파악

종합뉴스! 실시간 뉴스 HTS에 없는 뉴스

종합뉴스R 실시간 뉴스 HTS에 없는 뉴스

뉴스 프로그램 개발

주식뉴스PRO 리셀로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