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빠른 뉴스 프로그램: 주식뉴스PRO
릴리, 美게이트바이오사이언스와 최대1.2조원 규모 저분자 신약개발 계약"
일동제약 작성자: 플랑(skylovehee)     2025-07-29 12:42
[복사]    * 종목을 클릭하면, 종목에 대한 정보를 네이버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일동제약


무조건 주시~~~~


일동제약의 경구용 비만약 기술에 재조명


릴리의 이번 ‘저분자 화합물’ 기반 대규모 베팅은 경쟁사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의 움직임과 함께 시장에 중요한 신호를 보내고 있다. 노보노디스크는 일동제약의 경구용 비만약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 설계 및 기술이전 논의에 매우 적극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기사도 다수 존재한다.


특히 펩타이드 기반이 아닌 ‘저분자 화합물’ 기반 치료제라는 점에서 기술적 희소성과 가치가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이는 일동제약의 경구용 비만 치료제 플랫폼의 가치를 재평가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번 릴리의 대형 계약은 저분자 화합물 기반 비만약 시장이 향후 글로벌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일동제약 무조건 잘 보셔야~


3016fc6f-e90e-4fe9-a9f1-caa6e02ef8e3.jpg1fd92e36-c7d7-4ff9-a4be-13f47862ed5d.jpg


c0ce3afd-0b6a-4620-93fe-652d2ca313c2.jpg01679138-781a-4cd5-87db-a1520559d8f3.jpg

6c4d9b43-38f1-4e7d-bed9-e1ad7af28e70.jpgac2e1833-f269-4e97-a77c-ba3ff028058d.jpg



“4주 만에 릴리 40주 수준”…일동제약 저분자 비만 치료제, 글로벌 게임체인저 예고


일동제약의 경구용 비만 치료제(ID110521156)가 1상 임상시험 중간 결과에서 글로벌 경쟁사 일라이릴리(Eli Lilly)의 3상 약물 오포글리프론에 버금가는 체중 감량 효과를 나타내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 1상 진행 현황 및 일정


현재 일동제약은 저용량, 중용량, 고용량 3개 용량군을 대상으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이전 발표에서는 저용량과 중용량 결과 일부가 공개되었으며, 고용량 결과는 오는 8월 말~9월 초경 발표될 예정이다.

해당 시점에 임상 1상 탑라인 결과도 함께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다.



■ 릴리와의 직접 비교: 4주 vs 40주


릴리의 오포글리프론은 40주간 투여 후 최대 7.9%의 체중 감량을 유도했으며, 최고용량 투여군은 평균 체중 90.2kg에서 7.3kg 감소(약 8%)를 기록했다.


반면, 일동제약은 단 4주간 투여한 저·중용량 시험군에서


저용량(50mg): 평균 5.5% 감량


중용량(100mg): 평균 6.9% 감량

이라는 놀라운 초기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릴리의 40주 결과에 육박하는 수준이며, 고용량 결과가 발표되면 릴리의 장기 복용 데이터를 단기 내 초과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차별화된 기술 기반: 저분자 화합물


일동제약이 개발 중인 ID110521156은 저분자 GLP-1 계열 화합물이다.

릴리와 노보노디스크가 주력하는 고분자 펩타이드 기반 약물과 달리,


대량 생산 용이성


단가 경쟁력


경구제형 안정성 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 부작용 '제로'…글로벌 경쟁사 대비 압도적 내약성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부작용 발생 사례가 전무하다는 점이다.


릴리의 경우 위장관 부작용이 일부 보고되었고,


화이자의 ‘다누글리프론’은 2상에서 부작용으로 인해 투약 중단률 50% 이상을 기록하며 개발이 중단됐다.



반면, 일동제약의 ID110521156은 임상 1상에서 위장관 부작용이나 간독성 사례가 단 한 건도 보고되지 않았다.

이는 GLP-1 계열 경구용 신약 후보 중 가장 이상적인 안전성 프로파일로 평가된다.



■ 전문가 평가: "세계 최고 체중감소율 가능성"


한 증권사 연구원은 “직접 비교는 무리지만, ID110521156의 초기 체중 감량 효과는 상당하다”며

“특히 위장관 부작용과 간독성이 없는 점은 경쟁약물 대비 분명한 차별점”이라고 강조했다.



■ 업계 기대: 고용량 발표 후 ‘빅딜’ 가능성


시장에서는 오는 8월 말 발표될 고용량 결과가 센세이셔널한 반응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경쟁사 노보노디스크가 해당 임상의 설계를 도운 정황에 비춰볼 때,

고용량 결과 발표 후 기술이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릴리에게 주도권을 내준 노보노디스크가 위고비, 마운자로에 이어 일동제약의 저분자 경구형 치료제를 차기 카드로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요약 포인트


일동제약 경구용 비만약, 4주만에 릴리 40주와 유사한 효과


부작용 사례 전무 → 경쟁사 대비 압도적 내약성


8월 말 고용량 결과 발표 예정 → 글로벌 기술이전 기대


노보노디스크와 협력 가능성 부각


[출처] https://www.paxnet.co.kr/tbbs/view?id=N00820&seq=150357589459467
 안드로이드 앱 
 PC 프로그램(유료) 
 PC 프로그램(무료) 
가장 빠른 뉴스 프로그램: 주식뉴스PRO

가장 빠른 뉴스 프로그램: 주식뉴스PRO

주식뉴스PRO 리셀로 모집

종합뉴스! 실시간 뉴스 HTS에 없는 뉴스

종합뉴스R 실시간 뉴스 HTS에 없는 뉴스

뉴스 프로그램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