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오피스, 공실 줄고 임대료 올라… 상가는 공실률↑

입력
기사원문
박지윤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1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
오피스 임대가격지수 전분기比 0.44%↑, 공실률 0.2%P↓
상가는 소형‧중대형‧집합 모두 공실 늘어

올해 1분기 오피스는 공실이 줄고 임대료가 올라갔다. 반면 상가는 임대료가 줄고 소형, 중대형, 집합상가 모두 공실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시장 동향. /한국부동산원 제공

24일 한국부동산원(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오피스 임대가격지수는 지난해 4분기보다 0.44% 올랐다. 전국 평균 임대료는 ㎡당 18만2000원을 기록했다.

특히 서울과 경기 등 중심업무지구에서 임차 수요가 늘면서 도심권역은 0.47%, 강남권역은 1.07%, 분당역세권은 1.48% 각각 상승했다.

오피스 투자수익률은 1.56%를 기록했다. 소득수익률(0.94%)과 자산가치 변동을 의미하는 자본수익률(0.63%) 모두 올랐다.

오피스는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임대인 우위 시장이 형성되면서 공실률이 내려갔다. 전국 오피스 공실률은 평균 8.7%로 전분기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상가 시장은 경기 침체로 소비가 위축되면서 서울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임대료가 하락했다. 중대형(-0.17%), 소규모(-0.34%), 집합상가(-0.22%)를 포함한 상가통합 임대가격지수가 전분기 대비 0.21% 떨어졌다.

상가 공실률은 중대형 상가가 13.2%로 가장 높았다. 이어 집합 상가(10.3%), 소규모 상가(7.3%) 순이었다. 세종 집합 상가의 공실률은 13.6%, 경북은 26.4%로 전국 평균치를 상회했다.

다만 서울 강남, 성수, 용산 등 일부 상권은 외국인 관광객과 젊은 소비층이 유입되면서 상승세를 보였다.

서울 상가통합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와 비교하면 0.15% 상승했다. 광주 금남로·충장로(-1.21%), 월산동지구(-0.97%) 등은 하락했다.

부동산원은 “오피스 시장은 프라임급 중심 수요로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면서도 “상가는 내수 침체와 폐업 증가 등으로 구조적 위축이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자 프로필

구독자 0
응원수 0

건설업계와 부동산 시장을 취재하고 있습니다. 늘 낮은 자세로 귀 기울이겠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