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선택적 모병제’… 저출산에 병력수 매년 감소, 현실성 떨어져
부사관 급여 등 인상이 전제
천문학적 규모 예산 필요할듯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제시한 ‘선택적 모병제’ 공약을 두고 18일 군 내부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저출산에 한국군 병력 수가 급감하는 가운데 일정 규모 이상의 ‘모병’을 유지하기 위해선 천문학적 규모의 예산이 소요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후보의 ‘선택적 모병제’는 2022년 20대 대선 과정에서 병역 대상자가 ‘징집병’과 ‘기술집약형 전투부사관 모병’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적 모병제를 도입하겠다고 한 공약을 업데이트한 내용이다. 20대 대선 당시 이 전 대표는 징집병을 15만 명으로 줄이는 대신 기술집약형 전투부사관 5만 명, 군무원 5만 명 등 전문인력을 증원하고, 의무 복무기간 단축은 전문가 등 국민 의견 수렴 후 점진적으로 결정하겠다고 했다.
군 안팎에서는 병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급여와 열악한 근무환경 등으로 부사관 지원율이 해마다 급감하고 희망 전역자가 늘어나는 등 부사관 수급에 초비상이 걸린 상황에서 기술부사관 모병을 늘리는 선택적 모병제는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근 국방부가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최근 5년간 1분기 육군 부사관 희망 전역 및 휴직 현황’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육군에서 희망 전역한 부사관은 총 668명으로 2021년 1분기 315명에 비해 약 112% 증가했다.
부사관 임금 대폭 인상 등 처우를 개선하면 지원율이 다소 나아지겠지만 선택적 모병제로 징집병 숫자를 크게 줄일 경우 전체 군병력 급감을 가속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저출산에 따른 인구절벽으로 오는 2027년 상비병력 규모 50만 명 선 유지, 2040년대에는 상비군 병력 30만 명도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군 안팎에서는 현재 한국군 병력 수는 48만 명 안팎으로 북한군(128만여 명)의 37% 수준으로 징집병 수를 줄이거나 의무 복무기간 단축으로 북한군을 대적하기 힘들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기자 프로필
문화일보 정치부 정충신 기자입니다.
Copyright ⓒ 문화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3
문화일보 헤드라인
더보기
문화일보 랭킹 뉴스
오전 8시~9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더보기
함께 볼만한 뉴스
-
급발진 민주 최상목 탄핵 강행 최, 표결 전 사의… 한덕수 수리
-
韓대행 이어 최상목 사퇴…초유의 사회부총리 이주호 대행 체제(종합)
-
재생하기 재생시간02:42
"출마 꿈도 꾸지 마라" 한덕수 고발 예고‥단일화 시간표는? -
눈 뜨자마자 "팔다리 저리네"…7일 뒤 당신 뇌에서 터질 일
-
“대법, 사법적 유죄 취지는 명확히… 정치적 판단은 유권자에 맡겨”왜 파기자판 대신 파기환송 택했나 대법원이 1일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파기환송하면서 허위 사실 공표에 대한 명백한 유죄를 선고하자, 법조계에서는 “사법적으로 유죄라는 것을 명확히 하되, 정치적 판단은
-
“염색도 조심해야”…희끗희끗 새치, ‘이 습관’ 있으면 많이 생겨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