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김성훈 경호차장 “사퇴하겠다”···직원들 연판장에 백기

입력
수정2025.04.15. 오후 10:50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지난 1월1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서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15일 직원들에게 이달 안에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방해 혐의 수사, 윤 전 대통령 파면에도 자리를 지켰지만 최근 경호처 직원 대다수가 사퇴 촉구 연판장에 서명하자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김 차장은 이날 오후 직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이달 내 사퇴하겠다. 남은 기간 직무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호처 직원들이 사퇴 촉구 연판장을 돌리기 시작한 지 5일 만,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지 11일 만이다. 김 차장과 함께 사퇴 요구를 받은 이광우 경호본부장은 오는 25일까지 장기 휴가를 낸 상태로 사퇴 여부를 아직 밝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 차장과 이 본부장은 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지난 1월3일 윤 전 대통령 1차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체포를 저지하라는 지시를 거부한 경호처 직원을 인사 조치하고 대통령실 비화폰 통신기록 삭제를 지시한 혐의도 받는다.

경호처 직원들은 윤 전 대통령 파면 후에도 두 사람이 물러나지 않자 지난 10일 사퇴를 촉구하는 연판장을 돌렸다. 상명하복 관계가 뚜렷한 경호처에서 수뇌부 퇴진을 요구하는 연판장이 돈 것은 창설 62년 만에 처음이었다. 이틀 간 약 80%의 직원이 연판장에 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9일 김 차장이 체포영장 집행을 막으라는 지시에 반대한 경호처 간부를 해임해달라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에게 제청한 사실이 드러나며 직원들의 분노가 폭발했다고 한다.

김 처장은 결국 경호처 내 집단 반발에 어쩔 수 없이 수용 의사를 밝힌 것으로 분석된다. 경호처 내에서는 이달 말까지 기다릴 수 없다며 당장 사퇴하라는 목소리도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 차장이 물러나면 경찰 등 수사기관이 경호처 내 비화폰 서버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다시 시도할 수 있다. 경찰 등은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윤 전 대통령의 삼청동 안가, 대통령 관저, 경호처 등의 폐쇄회로(CC)TV 자료 및 비화폰 서버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무산됐다. 형사소송법 제110·111조에 따르면 군사상 비밀을 요하는 장소와 공무상 비밀에 관한 물건에 대해 압수수색을 할 때는 책임자의 승낙을 받아야 하는데, 경호처 책임자인 김 차장이 불승낙 사유서를 제출하면서 막아왔다.

다만 압수수색 대상이 대통령 지정기록물로 먼저 지정되면 김 차장이 사퇴해도 자료 확보가 어려워진다. 대통령 지정기록물로 지정된 자료는 최대 15년간 열람이 제한되며, 관할 고등법원장이 영장을 발부하거나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열람할 수 있다.

이지혜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내란 증거 인멸을 끝내고 도망칠 속셈인가. 도망치는 피의자가 사퇴 결심이라니 블랙코미디”라며 “물러난다고 법의 심판을 피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