뽑을 수 밖에 없는 치아를 고정하고 치조골을 재생시켜, 수술 부담 없이 자연치아를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이 기술은 전 세계 고령 인구의 핵심 니즈를 겨냥하고 있다.
핵심 원리는 명확하다. 흔들리는 치아 주변의 결손 부위에 세라믹 소재를 주입해 치아를 즉시 고정시키고, 동시에 뼈가 재생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발치 없이 치아를 다시 살리는 것이다.
기존 골이식재는 재생 효과는 있어도 치아를 물리적으로 고정할 수 없었기에, 결국 임플란트 외에는 대안이 없었다. 하지만 메디밸류의 신소재는 뼈가 자라나는 동안 치아를 견고히 잡아주는 구조적 기능까지 구현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중소벤처기업부 국책과제 및 모태펀드 직접 투자로 진행된 국가 주도 전략 사업이다. 최근 메디밸류는 국가 연구의 최종 성공 판정을 받았고, 이를 계기로 의료현장 진입과 글로벌 확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서울과학고 출신 치과의사 노형태 대표와, 미국 위스콘신-매디슨 신소재 공학 박사 김상일 교수가 의기투합한 이 프로젝트는, 내년 초 임상시험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3년 이내 시장 출시를 추진 중이다.
특히 회사 측은 이번 기술이 미국 FDA에 승인된 생체소재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허가 리스크가 낮고 글로벌 시장 진입도 빠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플란트 기업들의 기업가치가 수십조 원에 이르고 있는 현재, '치아를 새로 심는 것'에서 '치아를 다시 살리는 것'으로의 전환이 시작될 경우 시장은 근본적으로 재편될 수 밖에 없다. 업계에서는 발치가 당연했던 치아를 살릴 수 있다면, 임플란트 일변도의 시장 흐름이 바뀌는 건 시간 문제라고 보고 있다.
메디밸류 관계자는 "발치 없는 치과 치료가 현실화된다면 국내뿐 아니라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전 세계 치과 시장의 판도가 달라질 것" 이라며, "한국에서 먼저 임상을 성공시킨 뒤,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로 이어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전미진기자 junmijin83@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