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절반 '전원 등록'…'집단휴학 종료' 정상화 기대감 ↑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 40개 의과대학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9개 대학 의대생이 사실상 전원 복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계에 따르면 정부가 의대생 복귀 시한으로 잡았던 31일 오후 5시 기준 전원 등록을 마쳤거나 전원 복귀 의사를 밝힌 의대는 총 19곳이다.
통상 등록 신청은 마감 시한이 임박해 몰렸던 점을 고려하면 복귀 대열에 합류할 의대 규모는 더 불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40개 의과대학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9개 대학 의대생이 사실상 전원 복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계에 따르면 정부가 의대생 복귀 시한으로 잡았던 31일 오후 5시 기준 전원 등록을 마쳤거나 전원 복귀 의사를 밝힌 의대는 총 19곳이다.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울산대·가톨릭대를 비롯해 가천대·경북대·경상국립대·경희대·고려대·부산대·을지대·이화여대·전남대·조선대·중앙대·차의과대·충남대·충북대 등이다.
이날 등록을 마감하는 한양대와 건국대, 단국대, 아주대, 계명대, 가천대, 대구가톨릭대, 원광대 등 8곳 중 일부는 밤 12시까지 접수 시간을 늦췄다.
통상 등록 신청은 마감 시한이 임박해 몰렸던 점을 고려하면 복귀 대열에 합류할 의대 규모는 더 불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또한 수도권 대학이 물꼬를 튼 복귀 대열에 지방 거점국립대학들도 속속 동참하면서 의대생 전원 복귀는 대세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다만 인하대를 비롯한 일부 대학은 여전히 미등록률이 상당히 높아 제적 사태가 현실화할 가능성도 있다.
앞서 인하대는 의대생 자체 조사 결과 97%가 '미등록 투쟁'에 투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28일이 시한이었지만 일단 이날 밤까지 추가 신청을 받기로 했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전체적인 큰 흐름이 등록 쪽으로 바뀌었다고 한다"면서도 "어떤 대학은 전혀 등록하지 않은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은 끝났다…아마 돌이킬 수 없을 듯" 섬뜩 경고 날린 2380만 유튜버 - 아시아경제
- 2000만t 희토류 '잭팟' 터졌다…단숨에 세계 3위된 이곳 - 아시아경제
- 월급 안 부럽네… 월 500만원씩 따박따박 국민연금 받는 부부 첫 탄생 - 아시아경제
- "맨발로 팬티 입으면 피부병 생긴다"…이유가 뭐길래 - 아시아경제
- "월급 실화?""휴일도 출근?"…입사 첫날부터 관두는 日 직장인들 - 아시아경제
- 1500원짜리 커피 팔아 스타벅스 추월…작년 영업익 1000억 돌파했다 - 아시아경제
- "싸구려 취급 더는 못 참아"…'지브리 프사' 인기에 분노 폭발한 日감독 - 아시아경제
- "행운 온다" 너도 나도 쓱쓱…동상 가슴 훼손에 칼 빼든 도시 - 아시아경제
- "아이폰 333만원 된다"…트럼프 관세폭탄 최악 전망 - 아시아경제
- 동물단체 반발 속 "곰 350마리 없애겠다"…이유를 들어보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