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화장품 기업 M&A 거래도 역대 최고치
한국산 화장품이 지난해 미국에서 화장품 시장 최강국 프랑스를 제치고 수출액 1위를 달성했다. 한국이 세계 최대 화장품 시장인 미국에서 이 같은 실적을 거둔 것은 처음이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31일(현지시간)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 자료를 인용, "한국의 지난해 대(對)미국 화장품 수출액이 17억100만 달러(약 2조5,000억 원)를 기록하며 12억6,300만 달러(약 1조8,000억 원) 규모를 수출한 프랑스를 제쳤다"고 보도했다. 캐나다가 10억2,200만 달러(약 1조5,000억 원)로 3위였고, 이탈리아·중국·멕시코·영국·일본이 뒤를 이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지난해 한국 화장품의 전 세계 수출 규모가 2020년 75억 달러에서 지난해 102억 달러(약 15조 원)로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종전까지 최대 수출액을 기록했던 2021년(92억 달러·약 13조5,000억 원) 실적을 갱신하며 역대 최대치 수출을 달성한 것이다.
한국 화장품의 인기에 힘입어 한국 화장품 기업 인수·합병(M&A) 거래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한국 화장품 기업의 M&A 거래 건수는 18건으로, 역대 최다 수준이었다. 다만 거래 금액 기준으로는 2조3,000억 원(약 16억 달러)으로, 2017년 3조3,000억 원(약 22억 달러)과 2023년 2조8,000억 원(약 19억 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중소기업 M&A 자문사 MMP의 한만휘 이사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사모펀드들의 관심이 늘고 있다"면서 "강한 대미 수출 성장세를 볼 때 올해에도 M&A 붐이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계적인 화장품 브랜드들이 최근 수출 난항을 겪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산 화장품의 약진은 고무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고가 브랜드 에스티로더는 3월 현재 1분기 순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일본 화장품 제조업체인 시세이도 역시 중국의 수요 부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반면 한국콜마는 현재 북미 지역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에 두 번째 공장 개설을 준비하고 있다. CJ올리브영도 지난해 외국인 여행객 대상 매출이 140% 증가한 것을 바탕으로 미국 현지에 첫 번째 전문 매장을 열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