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 기업 50여 곳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했습니다. 이들 기업이 엔비디아, AMD 등의 첨단 반도체를 확보할 수 없도록 했습니다. 대중 수출 추가 규제 대신 미 반도체를 수입하는 나라들이 중국에 우회수출할 수 없도록 규제할 것이라던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탔던 반도체 종목들은 급락했습니다.
현지시간 26일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 상무부 산업안전국(BIS)은 80개 기관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했는데, 이 가운데 50여 곳이 중국 기관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2023년 이미 블랙리스트에 추가된 중국 클라우드 컴퓨팅 업체 인스퍼그룹의 자회사 6곳을 비롯해 네트릭스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수마 테크놀로지, 수마-USI 일렉트로닉스 등이 포함됐습니다.
블랙리스트에 추가된 기업들 중 두 곳은 기존 제재 대상인 화웨이 및 화웨이 계열사인 하이실리콘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고 상무부는 지적했습니다. 27개 중국 기관은 인민군 현대화를 지원하기 위해 미국산 제재 품목을 획득한 혐의입니다. 중국의 양자 기술 역량 강화를 도운 혐의로도 7개 기업도 블랙리스트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상무부는 이들 기업이 미국 국가안보를 위협하고 외교 정책 이익에 반하는 행위를 한 혐의를 받고 있다면서, 군사적 목적으로 첨단 AI, 슈퍼컴퓨터, 고성능 AI 칩, 초음속 무기 개발 등에 연루돼 제재 대상이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외신들은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면서 미중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시기에, 아울러 딥시크 쇼크 이후 중국에서 저가 AI 모델 도입이 급증하면서 독점적인 모델을 사용하며 많은 비용이 드는 미국 경쟁업체에 압박을 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뤄졌다”고 짚었습니다.
싱가포르국립대 선임 강사 알렉스 카프리는 이번 블랙리스트 추가로 인해 중국이 제3국을 통해 반도체를 우회 수입하는 길이 막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 업체들이 제 3자를 통해 민간용, 군사용 모두에 활용 가능한 미국의 전략적 기술에 접근이 가능했다면서 이런 맹점들을 활용해 규제에도 불구하고 미 반도체를 확보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미 당국이 계속해서 엔비디아, AMD의 첨단 반도체 밀수를 막기 위한 추적과 감시를 강화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