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 석학, 태양광 등 5개 에너지분야 공동 정책제안서 발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독일레오폴디나한림원은 태양광 등 5개 에너지 분야 공동 정책제안서 '한국과 독일의 에너지 전환'을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
차세대 배터리 분야는 배터리 원자재 공급망 제약, 안전 등 직면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폐쇄루프 제조 시스템을 도입하고 안전성을 키울 방법이 있어야 하며, 독일 기초연구와 한국 제조 역량을 결합하는 대규모 공동 연구를 통해 상용화를 가속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독일레오폴디나한림원은 태양광 등 5개 에너지 분야 공동 정책제안서 '한국과 독일의 에너지 전환'을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
정책제안서는 태양전지 분야 석학인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와 공정시스템분야 석학인 볼프강 마르쿼트 헬름홀츠 울리히연구소 전 의장 등 양국 에너지전환 전문가 22인이 공동 집필했다.
제안서에 따르면 태양광 분야는 발전 비용이 가장 낮고 대규모 도입 가능성이 높지만,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효율성 한계 등 도전과제를 안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차세대 태양광 발전 기술 혁신 및 폐쇄루프 전략 등을 권고했다.
수소 기술은 그린수소 생산 한계로 인한 높은 수입 의존성 등을 난제로 꼽고 수소 생산 효율성 강화 및 운반체 향상 전략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차세대 배터리 분야는 배터리 원자재 공급망 제약, 안전 등 직면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폐쇄루프 제조 시스템을 도입하고 안전성을 키울 방법이 있어야 하며, 독일 기초연구와 한국 제조 역량을 결합하는 대규모 공동 연구를 통해 상용화를 가속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전력망 관리 부분에서는 시스템 유연성 증대, 분산형 전원 활용 등 효율성 제고 방안을 언급했으며 미래에너지 분야는 소형모듈원자로(SMR)나 핵융합이 잠재력이 있으나 과제를 안고 있는 만큼 이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종합 권고사항으로는 ▲ 에너지 전환 분야 10~15년 단위 자금 지원 주기 확립 ▲ 젊은 연구자 교류 활성화 ▲ 인재 양성 교육 강화 등을 꼽았다.
정진호 과기한림원 원장은 "이번에 처음 발표한 공동 제안서가 향후 양국의 R&D 협력과 에너지 전환 정책 수립 등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독일레오폴디나한림원은 독일 8개 지역한림원을 대표하는 연방한림원으로 노벨상 수상자 152명 등 1천700여 명의 연구자가 회원으로 소속돼 있다.
shj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尹파면] 비상계엄에 '자멸'의 길로…윤석열의 정치 영욕 | 연합뉴스
- [尹파면] "尹 주장 믿기 어렵다"…헌재 곽종근·홍장원 믿은 이유는 | 연합뉴스
- [尹파면] 대통령 발목 잡은 '아군' 김용현 진술…'정치인 체포' 인정 | 연합뉴스
- [尹파면] "한국 부럽다"…외신 독자들 '민주주의 수호' 탄성 | 연합뉴스
- [尹파면] '탄핵 굿즈' 제작·거래 활발…'윤석열 시계'는 투매 양상(종합) | 연합뉴스
- 경찰, 헌재 앞 경찰버스 파손 남성 구속영장 신청 검토 | 연합뉴스
- 조두순, 하교 시간대 재차 거주지 무단이탈…수 분 만에 귀가 | 연합뉴스
- 법원 "후크, 이승기에 5억8천만원 추가로 주라"…채무 맞소송 | 연합뉴스
- 이정재·정우성, 中 엔터사 회동…배우 저우둥위도 만나(종합) | 연합뉴스
- 中장가계 '폭싹 속았수다' 홍보 이용…서경덕 "훔쳐본 것 시인"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