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학정보원이 소아·청소년의 마크로라이드 불응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2차 항생제의 안전 사용 가이드를 자세히 정리해 발표했다.
약학정보원 손유민 학술자문위원(삼성서울병원 약제부)은 14일 공개된 온라인 학술정보지 '팜리뷰'에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에 대한 최신 치료 지침을 다뤘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의 감염증은 병원체인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Mycoplasam penumoniae)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전 연령에 걸쳐 나타날 수 있지만 주로 5세 이상 학동기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인다.
주 증상은 발열과 기침 등이 있으며 증상이 악화돼 폐렴, 폐농양, 폐기종, 기관지확장증 등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다. 호흡기 증상 이외에는 구토, 복통, 피부발진 등이 흔하게 동반되며, 뇌수막염, 뇌염, 심근염, 관절염, 간염, 용혈성 빈혈 등도 발생할 수 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1차 치료제로 클래리스로마이신, 아지스로마이신 등의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를 우선 사용하며, 마크로라이드계 불응일 경우 2차 치료제로 독시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등의 테트라사이클린계 또는 레보플록사신, 토수플록사신 등의 퀴놀론계 사용을 권고한다.
이번 팜리뷰에서는 특히 2차 치료제인 독시사이클린과 레보플록사신을 약제 사용의 일반 원칙, 용량, 복용법, 약물 이상 반응, 약물 상호작용과 예방 및 대처방법, 복약상담으로 나눠 자세히 알아보고 일상생활에서의 감염 예방 수칙에 대해 설명했다.
손 자문위원은 약사들이 챙겨야 할 포인트로 △마크로라이드계 불응하는 마이코플라스마 소아 폐렴의 2차 치료제인 독시사이클린과 레보플록사신에 대해 살펴보고 복약 상담법을 숙지할 것과 △다른 호흡기 감염과 마찬가지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예방을 위해선 기침, 재채기를 할 때 입을 가리고 비눗물로 손을 자주 씻는 것이 중요함을 환자에게 강조할 것을 꼽았다.
약학정보원 팜리뷰는 약학정보원 홈페이지(https://www.health.kr/researchInfo/pharmreview.asp) 및 약국서비스플랫폼(PharmIT3000, PM+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는 진짜 FDA 승인받을 수 있을까? "멸균 실패는 환자 사망과 직결"② |
2 | "위기인가 기회인가, K-제약바이오 대전환기…지금이 도약 시점" |
3 | HLB는 진짜 FDA 승인받을 수 있을까? "CMC 지적, 우습게 보면 큰 코 다쳐"① |
4 | “모두 포기한 시장서 대박” 유바이오로직스, 콜레라백신 매출 1500억대 전망 |
5 | 현대바이오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 전립선암 임상 승인 |
6 | '5세대 실손보험'은 무엇인가...의료계 반발 이유는? |
7 | 메디톡스, 2024년 순이익 161억원…전년 대비 두 배 넘게 증가 |
8 | "상용화 일정 이상무" 에이비엘바이오, ABL001 2/3상 결과 Q&A 발표 |
9 | 치솟는 연구개발비…글로벌 제약사 Top 10 ① |
10 | K-뷰티 수출 전선 '파란불'…1분기 26억 달러 '역대 최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약학정보원이 소아·청소년의 마크로라이드 불응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2차 항생제의 안전 사용 가이드를 자세히 정리해 발표했다.
약학정보원 손유민 학술자문위원(삼성서울병원 약제부)은 14일 공개된 온라인 학술정보지 '팜리뷰'에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에 대한 최신 치료 지침을 다뤘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의 감염증은 병원체인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Mycoplasam penumoniae)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전 연령에 걸쳐 나타날 수 있지만 주로 5세 이상 학동기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인다.
주 증상은 발열과 기침 등이 있으며 증상이 악화돼 폐렴, 폐농양, 폐기종, 기관지확장증 등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다. 호흡기 증상 이외에는 구토, 복통, 피부발진 등이 흔하게 동반되며, 뇌수막염, 뇌염, 심근염, 관절염, 간염, 용혈성 빈혈 등도 발생할 수 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1차 치료제로 클래리스로마이신, 아지스로마이신 등의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를 우선 사용하며, 마크로라이드계 불응일 경우 2차 치료제로 독시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등의 테트라사이클린계 또는 레보플록사신, 토수플록사신 등의 퀴놀론계 사용을 권고한다.
이번 팜리뷰에서는 특히 2차 치료제인 독시사이클린과 레보플록사신을 약제 사용의 일반 원칙, 용량, 복용법, 약물 이상 반응, 약물 상호작용과 예방 및 대처방법, 복약상담으로 나눠 자세히 알아보고 일상생활에서의 감염 예방 수칙에 대해 설명했다.
손 자문위원은 약사들이 챙겨야 할 포인트로 △마크로라이드계 불응하는 마이코플라스마 소아 폐렴의 2차 치료제인 독시사이클린과 레보플록사신에 대해 살펴보고 복약 상담법을 숙지할 것과 △다른 호흡기 감염과 마찬가지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예방을 위해선 기침, 재채기를 할 때 입을 가리고 비눗물로 손을 자주 씻는 것이 중요함을 환자에게 강조할 것을 꼽았다.
약학정보원 팜리뷰는 약학정보원 홈페이지(https://www.health.kr/researchInfo/pharmreview.asp) 및 약국서비스플랫폼(PharmIT3000, PM+20)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