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민주, 권리당원·국민 1인 1표 '국민선거인단' 경선 무게…당원 110만명 투표할 듯

입력
수정2025.04.10. 오후 2:50
기사원문
장세희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TV조선 방송화면 캡처
더불어민주당이 10일 경선 규칙을 확정할 계획인 가운데, 20대 대선과 같은 국민 선거인단 방식이 유력한 걸로 알려졌다.

민주당에 따르면, 당비를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과 새로 모집하는 국민(선거인단)에 모두 1인 1표를 주는 '국민 선거인단' 방식이 유력 검토되는 걸로 확인됐다. 선거인단 참여자 수 제한은 없다.

해당 안이 확정되면, 이달 기준 6개월 이상 당비를 낸 권리당원 110만 명이 경선 투표에 참여 가능한 걸로 확인됐다. 이는 2022년(20대 대선) 때보다 30만 명 늘어난 숫자다.

별도 인원을 추출해 당원과 선거인단을 5 대 5로 반영하는 방안과, 권리당원을 제외한 여론조사 방식 등도 거론됐지만 당원 주권 시대 흐름과 맞지 않다는 부정적 의견이 나온 걸로 전해진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이날 오후 4시 국회에서 당원과 선거인단의 표 가치, 선거인단 자격 기준 등에 대해 논의하고 최종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특별당규위원회 핵심 관계자는 TV조선과의 통화에서 "오늘 안에 마쳐야 내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의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대한 속도감 있게 논의해 결정할 것"이라며 "최대한 논란이 없도록 직전 대선과 같은 룰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한편 민주당은 20대 대선 당시에도 권리당원과 새로 모집하는 선거인단에 모두 1인 1표를 주는 '국민 선거인단' 방식을 채택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