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중국 BYD, 한국서 재고떨이…아토3 이어 씰도 `구형`

입력
수정2025.04.09. 오후 7:59
기사원문
임주희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작년 8월 中서 부분변경 출시

韓서 관세 8%…"재고 밀어내기 알맞은 조건"


씰 구형 모델(위), 씰 부분변경 모델. BYD 제공
지난 1월 국내 전기 승용차 시장에 진출한 중국 BYD가 선보인 두 번째 모델인 중형 전기 세단 '씰'(SEAL)이 부분변경 전 구형 모델인 것으로 알려졌다. 첫 모델인 아토 3도 공개 직후 부분변경 모델이 중국 현지에서 출시돼 논란이 된 만큼 이번에도 '재고 밀어내기' 비판을 피해 가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

9일 업계에 따르면 BYD코리아가 사전예약을 받고 있는 씰은 부분변경 전 구형 모델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작년 8월 BYD는 중국에서 약 2년 만에 상품성 개선을 거친 씰 부분변경 모델을 공개한 바 있다.

신형 씰은 기존 'e-플랫폼 3.0'에서 고전압 800V 아키텍처로 개선된 'e-플랫폼 3.0 Evo'가 적용됐으며, 전기 파워트레인도 8-in-1에서 12-in-1으로 업그레이드됐다. 아울러 루프에 라이다 센서를 처음으로 적용해 내비게이션 기반 오토파일럿과 자동 주차 기능을 지원한다.

BYD코리아는 먼저 출시한 아토 3도 공개 직후 곧바로 부분변경 모델이 출시돼 논란이 된 바 있다. 국내 전기차 보조금 인증이 늦어지며 출고가 지연돼 "차 키를 받기도 전에 구형이 됐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씰의 경우 부분변경 모델이 작년 8월에 출시됐으며, 한국에 진출 후 선보이는 첫 번째 전기 세단이란 점을 감안하면 비판은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씰 구형 모델 내부(위), 씰 부분변경 모델 내부. BYD 제공
일각에서는 BYD가 자국에서는 부분변경 모델을 출시해도 글로벌에는 구형 모델을 파는 것에 대해 '재고 밀어내기'라고 지적하고 있다. BYD 등 중국 전기차 업체들은 과잉 생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외 수출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저렴한 인건비와 당국의 지원으로 중국에서 값싸게 찍어낸 물량을 해외에 저가로 쏟아내고 있다.

특히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이 중국에 관세 장벽을 세우고 있어 상대적으로 관세를 적게 낼 수 있는 신흥 시장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중국산 자동차에 10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으며, EU도 BYD에 27%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 BYD가 수입해 들여오는 차에 8%의 관세만을 책정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중국과 물리적으로 가까워 운송비가 적게 들고, 관세도 미국·유럽에 비해 낮은 편이라 BYD가 저가 공세를 펼치기 알맞은 조건"이라며 "중국의 저가 공세에 대한 정부 차원의 규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구독자 0
응원수 0

안녕하세요 산업부 임주희 기자입니다. 자동차, 방산, 상사를 출입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